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가진 것이 없는 사람이야 말로 공부 밖에 답이 없다.

코잎 2023. 11. 23. 15:43
728x90

 

예전에 고등학교 선생님이 이런 말을 했던 것이 기억난다.

인생에서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은 공부 뿐이다.

 

고등학생 때는 그저 우리들의 공부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한 이야기 정도라고 생각했지만 나이가 30살이 넘어가니 저 말이 얼마나 많은 지혜를 담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현제 세상은 리스크는 많이 낮아지고 그에 비해 리턴은 많이 높아졌다. 과거에는 사업 실패를 해서 빚더미에 앉으면 노예로 팔려가거나 언제 죽을지 몰랐으나, 현재는 빚더미에 앉아도 변재에 몇 십년이 걸리더라도 죽지는 않는다. 심지어 파산신청하고 다시 도전해서 성공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삶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인간은 대부분 안전을 추구하고 리스크가 낮은 삶을 선호 하도록 진화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더 높은 지위와 더 많은 재산에 대한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들에게 가장 권장 되는 것이  '공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실에 대해 이미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길을 선택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왜냐하면 인간은 그 무서워 하는 리스크 보다 더  싫어하는게 있기 때분이다. 그것은 바로  '귀찮음' 이다. 그래서 사람은 일확천금을 꿈꾸며 5%외에는 모두 손해를 보고있는 주식시장에 뛰어든다든지(심지어 5%안에 들어도 부자가 되는게 아니라 마이너스가 안난 것 뿐이다) 도박, 코인 등에 손을 뻗치게 되는 것이다.

 

왜 공부를 해야하는가?

 

공부는 그 어떤 길보다 로우 리스크에 하이 리턴을 보장해준다. 물론 아예 리스크가 없지는 않다. '시간'이라는 재화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에 비해 지식은 평생 그 효능을 누릴 수 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잊지만, 계속 사용하거나 잊더라도 한번 배운건 다시 공부하면 금방 배울 수 있다.)

 

공부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안정성'이다. 공부를 해서 부자는 못되더라도 가난해지지는 않는다. 빈민층이 될 일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부하는 습관은 어릴 때 대부분 형성 되는데, 공부라는게 어려서만 하는게 아닌 나이 먹어서도 배워야하 할 것이 많기 때문에 가진게 없이 태어났다면 일단 공부라도 열심히 해야 길이 보인다.


그럼 무엇을 공부해야하는가?

 

요즘 유행하는 단어 중 하나가 '라이프 해킹'이다. 흔이 유튜브에서' 부자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 지식이 세상에서 제일 쓸모 없는 지식이다. 그런것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진짜로 현실에서 활용가능한 지식을, 당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식을 '귀찮음'을 이겨내고 쌓고 활용해보기를 바란다. 

 

무슨 지식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면 목표와 계획부터 세우길 바란다. 목표는 당신이 진정을 원하는 것에 대해 알아야 세울 수 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잘모르겠고 무엇을 바라는지도 모르겠다면, 우선 의식주의 자립과 안정을 목표로 하는 것을 권한다. 현대 시대에 이것은 쉬워보이지만 수천만년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목표로 했고 달성하지 못했을 만큼 쉽지 않은 목표다. 

 

 

그리고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해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라. 어차피 세상일은 계획대로 되지않고 일단 세워놓고 차근차근 수정해나가고, 폐기해 나가면서 세로운 계획을 새우고 하면서 생각하고 고민하는 과정에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남에게 묻거나 배우려는 생각은 멍청한 생각이다. 그렇게 고민하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당신은 성장하고 스스로에 대해 알게 될 것이다. 무슨 자기개발 서적이나 본다고 스스로에 대해 알게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도 한가지 팁을 준다면 당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는 모르겠지만, 무엇을 해야하는 대부분 아는 경우가 많다. 당신이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것부터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을 추천한다. 그걸 성취해가는 과정에서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게 되는 경우도 많다.